설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
1. 프록시란
2. 객체에서 프록시
3. 프록시 구현
4. Spring에서 프록시 사용하기

1. 프록시란

   - 번역하면 '대리자' 라는 뜻임

   - 클라이언트-서버 개념에서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를 직접 호출하고, 처리 결과를 직접 받는다

   - 그런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직접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대리자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서버에 요청할 수 있음(클라이언트 -> 대리자 -> 서버)

   - 예를 들어 내가 직접 마트에서 장을 볼 수 있지만, 누군가에게 대신 장을 봐달라고 부탁할 수 있다

   - 여기서 이런 대리자를 '프록시' 라고 함

   - 프록시를 사용하면 프록시가 중간에서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음

      ① 접근 제어 캐싱

         : 엄마에게 라면을 사달라고 부탁했는데, 엄마는 라면이 이미 집에 있다고 할 수 있음. 그러면 기대한 것 보다 빨리 먹을 수 있음

      ② 부가 기능 추가

         : 아빠에게 자동차 쥐유를 부탁했는데, 아빠는 주유뿐만 아니라 세차까지 하고 왔음. 기대한 것외에 세차라는 부가 긴으까지 얻게 되었음

      ③ 프록시 체인

         : 동생에게 라면을 사달라고 부탁했는데, 동생은 또 다른 동생에게 라면을 사달라고 부탁할 수 있음. 중요한 점은 클라이언트는 대리자를 통해 요청했기 때문에 그 이후 과정은 모름. 동생을 통해서 라면이 도착하기만 하면 됨


2. 객체에서 프록시

   - 객체에서 프록시가 되려면,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요청을 한 것인지 프록시에게 요청을 한 것인지 몰라야 함

   - 쉽게 말해서 서버와 프록시는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함. 그렇게 되면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객체를 프록시 객체로 바꾸어도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아도 됨

   - 프록시의 주요 기능

      ① 접근 제어 : 권한에 따른 접근 차단, 캐싱, 지연 로딩

      ② 부가 기능 추가 : ex) 실행 시간 측정해서 로그 남김


3. 프록시 구현

   - 프록시 핵심 구조

      ① 프록시와 실제 서버는 같은 interface를 구현함 -> 클라이언트가 서버를 호출했는지 클라이언트를 호출했는지 모르게 하기 위해

      ② 프록시는 실제 서버를 필드로 갖고 있어서, 부가적인 일을 수행하는 도중에 실제 서버의 메서드를 호출함


4. Spring에서 프록시 사용하기

   - Controller, Service, Repository의 interface를 구현한 프록시 만들기

   - Bean으로 프록시 객체를 등록해서, 런타임시 클라이언트는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도록 함

   - 그러면 프록시 객체를 따로 다 생성해서 Bean으로 등록해줘야 할까? 아님. 

   - Spring은 Java의 Reflection을 이용해서 부가 기능을 추가한 프록시를 동적으로 대신 생성해줌

      * Reflection : 클래스의 메타 정보를 획득해서, 코드를 동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기술


프록시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.
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OP (1)  (0) 2023.08.25
IOC(Inversion Of Control), DI(Dependency Injection)  (0) 2023.08.24
[Spring MVC 1편(김영한)] WAS, Servlet이란?  (0) 2023.04.12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