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W Expert Academy
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!
swexpertacademy.com
<풀이>
1. 스마트폰 정보를 입력받는다.
2. 주어진 스마트폰으로 W를 만들 수 있는 최소 터치 횟수를 출력한다.
<해법>
1. 문제를 해결하는 흐름
=> 다 해봐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. 재귀를 통해서 머릿속으로 구현하던 중, '다음에 숫자를 누르는 경우와 연산자를 누르는 경우를 나누어서 생각해야 한다.'는 생각이 듭니다. 갑자기 복잡해집니다. 저는 이 때, 재귀함수 하나로 해결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 따라서 두 개로 나누었습니다. 숫자만 눌러서 만드는 경우, 숫자와 연산자를 눌러서 만드는 경우로 나누어서 구현하였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77
78
79
80
81
82
83
84
85
86
87
88
89
90
91
92
93
94
95
96
97
98
99
100
101
102
103
104
105
106
107
108
109
110
111
112
113
114
115
116
117
118
119
120
121
122
|
//라이브러리 사용 불가
#include <iostream>
#define INF 987654321
using namespace std;
int N, O, M, W;
int numPad[10];
int operPad[4];
int nums[1000];
int numsSize;
int bestTouchCnt[1000];
int answer;
//연산
int calculate(int oper, int n1, int n2) {
int output = 0;
switch (oper) {
case 1:
output = n1 + n2;
break;
case 2:
output = n1 - n2;
break;
case 3:
output = n1 * n2;
break;
case 4:
if (n2 == 0) return -1;
output = n1 / n2;
break;
}
return (0 <= output && output <= 999) ? output : -1;
}
//연산자 없이 숫자 만들기
void makeNum(int select, int num) {
if (select == min(M, 3)) return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int nxtNum = num * 10 + numPad[i];
if (bestTouchCnt[nxtNum] <= select + 1) continue;
bestTouchCnt[nxtNum] = select + 1;
makeNum(select + 1, nxtNum);
}
}
//연산자 이용해서 숫자 만들기
void makeNumWithOper(int n1, int touchCnt) {
if (n1 == W) return;
for (int i = 0; i < numsSize; i++) {
int n2 = nums[i];
int nxtTouchCnt = bestTouchCnt[n1] + bestTouchCnt[n2] + 1;
if (nxtTouchCnt + 1 > M) continue;
for (int j = 0; j < O; j++) {
int oper = operPad[j];
int nxtNum = calculate(oper, n1, n2);
if (nxtNum == -1 || bestTouchCnt[nxtNum] <= nxtTouchCnt) continue;
bestTouchCnt[nxtNum] = nxtTouchCnt;
makeNumWithOper(nxtNum, nxtTouchCnt);
}
}
}
int main() {
int test_case;
int T;
cin >> T;
for (test_case = 1; test_case <= T; test_case++) {
//초기화
N = 0, O = 0, M = 0, W = 0;
for (int i = 0; i < 10; i++) numPad[i] = 0;
for (int i = 0; i < 4; i++) operPad[i] = 0;
for (int i = 0; i < 1000; i++) nums[i] = 0;
numsSize = 0;
for (int i = 0; i < 1000; i++) bestTouchCnt[i] = INF;
answer = 0;
//입력
cin >> N >> O >> M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cin >> numPad[i];
}
for (int i = 0; i < O; i++) {
cin >> operPad[i];
}
cin >> W;
/* 해법 */
//1. 연산자 없이 모든 숫자를 만든다.
makeNum(0, 0);
//2. (1) 연산자 없이 W를 만들 수 있으면, 바로 정답 갱신
// (2) 연산자 없이 못 만들면, 연산자를 이용해보고 정답 갱신
if (bestTouchCnt[W] != INF) answer = bestTouchCnt[W];
else {
for (int i = 0; i < 1000; i++) {
if (bestTouchCnt[i] != INF) nums[numsSize++] = i;
}
for (int i = 0; i < numsSize; i++) {
int n1 = nums[i];
makeNumWithOper(n1, bestTouchCnt[n1]);
}
answer = (bestTouchCnt[W] == INF) ? -1 : bestTouchCnt[W] + 1;
}
//출력
cout << "#" << test_case << " " << answer << "\n";
}
//종료
return 0;
}
|
구현과 재귀함수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.
'알고리즘 문제풀이 > SWE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++] SWEA 1953 - 탈주범 검거(2) (0) | 2022.12.15 |
---|---|
[C++] SWEA 1949 - 등산로 조정 (0) | 2022.12.15 |
[C++] SWEA 5658 - 보물상자 비밀번호 (0) | 2022.12.06 |
[C++] SWEA 2105 - 디저트 카페 (0) | 2022.12.06 |
[C++] SWEA 1952 - 수영장 (0) | 2022.12.06 |